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제품 Application] 중요 Point 유제품과 캔디, 젤리 내용을 확인해 봤습니다.
2022.11.11 - [제품 Application] - [제품 Application] 중요 Point - 제품 개발 Part 3. 유제품, 캔디, 젤리 (3종)
이번 포스트부터는 [제품 Application] 중요 Point 아이스크림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스크림 Application]
1. 아이스크림의 특징
- 일반적으로 더운 날씨에는 Bar 형태, 비수기에는 유지방이 들어간 Ice Cream 형태
- 소비자의 고급, 천연지향과 저칼로리, 건강지향으로 저지방 제품도 있다.
- 저지방의 빙과에 Natural한 Milk, Cream Flavor가 요구되고 있다.
- 제조가공 시 가열온도가 높지 않음
- 냉각 후 향을 첨가함으로 열에 의한 향의 변화가 없다.
- 산성 ~ 중성까지 모든 향의 적용이 가능
- 냉동보관 함으로 유통 기간 중 향의 변화도 적다.
- 동결된 상태이므로 향료의 사용량이 증가
- Overrun(팽창율, 공기주입율)이 높을수록 향 사용량을 증가
- 지방의 양이 증가하여도 향을 높여야할 필요
- 안정제의 사용에 따라 향의 사용량을 증가
- 유고형 분도 향의 필요량을 높인다.
2. [아이스크림 제조공정도 예시]
배 합 | 65'C 30분 이상 | 대부분 원료 |
균 질 | 75'C, 120 ~ 200Bar | 지방구 2um 이하로 |
살 균 | 85‘C, 15초 | |
냉각 및 숚성 | 5‘C 까지 | 2~4시간 이상, 향료, 색소투입 |
Freezing | -2 ~ -6'C | OR (0~100), 과육, 과자등 혼합 |
충전, 경화 | -35‘C 이하 | 강력한 송풍이 되는 Hardening tunnel |
보관 | -25‘C 이하 | -18'C 이하 Show case에서 진열 판매 |
3. 아이스크림용 향료 사용 시 주요점
- 유제품, 난황, 식물성 Oil등의 풍미의 결점을 보완
- 유원료의 경우는 유성분 특유의 Flavor에 잘 Match 되는 것.
- 유성분과 과육, 과즙등의 풍미를 Enhancer 하는 효과
- 셔벗의 경우는 과즙과의 조화가 매우 중요하다.
- 저온에서 먹기 때문에, 저온에서 향의 Balance가 좋은 향을 선택하는 것.
- 천천히 교반 할 때 첨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균일하게 분산, 용해하는 것.
- Biscuit, Bakery 등의 소재와 복합 빙과를 제조할 경우, 그 소재와 항료가 조화가 중요
4. 아이스크림용 향료의 종류 와 특징
- Vanilla Flavor :
- 빙과류 중 가장 선호하는 향
- Bourbon Vanilla Type(Sweet, Mild Type)이 가장 많이 사용
- 고급 제품에는 Vanilla Bean에서 추출한 Extract와 Oleoresin을 이용한 Flavor를 첨가
- Vanilla Flavor는 유제품과 잘 조화되어, 아이스크림에 가장 많이 이용
- Bourbon Type은 Sweet, Mild, Balsam Note의 향
- 주성분은 Vanillin(약 2~3%)이다.
- Chocolate Flavor :
- 빙과류 중 선호하는 향으로 Cocoa Type, Bitter Chocolate Type이 많이 사용
- Nut계 향료와 병용 사용
- 아이스크림에는 Chocolate Source, Coating, Choco chip을 사용한 제품이 많음
- Chocolate Source에는 Sweet, Milk Chocolate Type이 많이 사용
- Chocolate Coating에는 Bitter Type, Milk Chocolate Type이 많이 사용된다.
- Strawberry Flavor :
- Fruits향 중 가장 많이 선호하는 향이다
- Fancy Type : 유제품이 사용되지 않는 빙과류 등에 많이 사용된다.
- Jam Type : Topping Sauce, Center 등에 사용되는 Fruit Sauce
- Jam의 Sweet 한 과육 감을 강조하는 Flavor로서 사용
- Fresh Type : Green Note의 특징이 있는 Fresh Type으로 유성분과 잘 어울리고 기호의 고급화가 되는 제품에 사용..
- Citrus계 Flavor :
- 청량감이 있고, 산미와 잘 어울리기 때문에 셔벗, 소르베에 사용
- 과육, 과즙을 사용해서 고급화하는 경향이 있음
- 과즙, 과육에 잘 어울리고, 과즙의 Off-Flavor를 Masking 하는 역할
- Citrus Flavor는 천연 정유를 Essence화한 것이 많이 음,
- Juicy 감을 강하게 전달할 때는 유화 향료를 사용
- Citrus 과즙의 농축 시에 생성되는 Recovery Flavor를 사용해서, 보다 Fresh 하고 Juicy 한 Type이 많이 사용.
- Milk, Cream Flavor :
- 유원료 사용량이 적은 제품, 빙과에 Milk, Cream 감을 보완
- 맛, 향을 Enhancer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 Sweet, 농축 Type의 Condensed Milk Type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 생우유의 Mild 한 Fresh Milk Type 등이 요구되어 보다 Natural감이 있는 Type 등도 많이 사용
- 유제품에 Lipase, Protease 유산균등을 작용시켜서 조제한 효소 Flavor
- 제품의 정미 증강 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된다.
- Vanilla, Chocolate, strawberry 아이스크림과 병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
- 기타
- Fruit계(Melon, Peach, Grape, Pineapple, Cherry 등)
- Nut계 (Almond, Hazel nut, Peanut 등), Coffee Flavor 등이 사용된다.
여기까지 [제품 Application] 중요 Point - 아이스크림에 대하여 이야기하였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제품 Application] 중요 Point - 추잉껌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제품 Appl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품 개발] 중요 Point - 제품 개발 Part 6. 수프, 소스 (0) | 2022.11.17 |
---|---|
[제품 개발] 중요 Point - 제품 개발 Part 5. 추잉껌 (1) | 2022.11.15 |
[제품 개발] 중요 Point - 제품 개발 Part 3. 유제품, 캔디, 젤리 (3종) (0) | 2022.11.11 |
[제품 개발] 중요 Point - 제품 개발 Part 2. 과즙음료 (1) | 2022.11.09 |
[제품 개발] 중요 Point - 제품 개발 Part 1. 탄산음료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