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감미료8

[감미료] 사카린(Saccharin) [기본정보] 원산지: - 학명: - 분류: - 감미료 종류: 인공감미료 [조건 및 요구사항] 사용 조건: 빵류, 건과류, 이의 제조용 믹스에서 0.5% 이하로 사용 원료 규격: - 외관: - 풍미: - 용상: - 액성: - 비선광도: - 비소 함량: - 중금속 함량: - 5-벤질-3,6-디옥소-2-초산피페라진 함량: - [관한 정보] 사카린(Saccharin)은 인공감미료로, 당을 대체하여 사용됩니다. 스테비아와는 달리 천연감미료가 아닙니다. 사카린은 1879년에 발견된 물질로, 단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탕보다 훨씬 강한 단맛을 제공하며, 저칼로리입니다. [사용법 및 주의사항] 사용법: 사카린은 다양한 음료와 식품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감미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의사항: 사.. 2023. 6. 13.
[감미료] 스테비오사이드 (Stevia rebaudiana) [기본정보] 원산지: 남아메리카 파라과이 학명: Stevia rebaudiana 분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감미료 종류: 천연감미료 [조건 및 요구사항] 사용 조건: 빵류, 건과류, 이의 제조용 믹스에서 0.5% 이하로 사용 원료 규격: 스테비아 함량은 98.0∼102.0% 외관: - 풍미: - 용상: 1g의 스테비아를 0.2N 염산에 녹여 100ml 용액은 무색 액성: 0.8g의 스테비아를 물에 녹여 100ml 용액의 pH는 4.5∼6.0 비선광도: [α](20, D) 값은 +12.5 ∼ +17.5° 비소 함량: 4ppm 이하 중금속 함량: 20ppm 이하 5-벤질-3,6-디옥소-2-초산피페라진 함량: 1.5% 이하 [관한 정보]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는 파라과이 원산지의 국화과 여.. 2023. 6. 12.
[식품향료]중요 Point - Food Flavor Part 44. 식품의색소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식품향료] 중요 Point - 풍미원료 확인해 봤습니다. 2023.02.28 - [제품 Application] - [식품향료] 중요 Point - Food Flavor Part 43. 풍미원료 이번 포스트부터는 [식품향료] 중요 Point - 식품의 색소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품의 색소] : 시각과 청각은 원격 감각이다. 파장을 감지하는 기능이다 유기색은 공유결합이 증가하면 긴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다 - 카로티노이드계 : 라이코펜의 변형 pH 변화와 무관, 열에도 강함, 대부분 지용성 산화에 약하다 : 빛 or 산소의 차단, Vitamin C등 항산화제 첨가등 필요 - Porphyrin 계 : 클로로필, 헤모글로빈, 중심 .. 2023. 3. 1.
[식품향료]중요 Point - Food Flavor Part 42. 맛 관련 원료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식품향료] 중요 Point - 맛의 역할 확인해 봤습니다. 2023.02.24 - [제품 Application] - [식품향료] 중요 Point - Food Flavor Part 41. 맛의 역할 이번 포스트부터는 [식품향료] 중요 Point - 맛 관련 원료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호성 원료 : 맛, 색 1) 맛 관련 원료 A. 감미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설탕, 과당이다. 감미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온도, 농도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B. 산미료 : 감미 + 산미 + 향, 3가지가 조화되어야 입체적인 풍미가 완성된다 산미료 와 보존성 - TCA회로 & Analog - 세포막에 작용 C. 짠맛 염 이온직.. 2023. 2.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