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원재료/대체감미료

[감미료] 에리스톨(Erythritol)

by 냥코선생님 2023. 6. 21.
728x90
반응형

[기본정보]

학명: Erythritol

분류: 당알코올

분자식: C4 H6(OH) 4

대응하는 당: 에리트로스

탄소 개수: 4개인 4탄당

이성질체 관계: 트레이톨과 이성질체 관계

감미도: 0.7 (설탕 5 숟갈에 대해 에리트리톨은 7 숟갈을 넣어야 같은 단맛을 낸다)

특징: 이가 시릴 정도의 청량감이 있다.

 

[조건 및 요구사항]

사용 규격 (2013.1 기준):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1.0g/kg 이하 (팥 등 앙금류의 경우 0.2g/kg 이하)

김치류: 0.2g/kg 이하

음료류 (발효음료류, 인삼․홍삼음료 제외): 0.2g/kg 이하 (5배 이상 희석하여 사용하는 경우 1.0g/kg 이하)

어육가공품: 0.1g/kg 이하

시리얼류: 0.1g/kg 이하

뻥튀기: 0.5g/kg 이하

특수의료용도등식품: 0.2g/kg 이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0.3g/kg 이하

건강기능식품 영양소제품: 1.2g/kg 이하

추잉껌: 1.2g/kg 이하

잼류: 0.2g/kg 이하

양조간장: 0.16g/kg 이하

소스류: 0.16g/kg 이하

토마토케첩: 0.16g/kg 이하

조제커피: 0.2g/kg 이하

탁주: 0.08g/kg 이하

소주: 0.08g/kg 이하

 

[신체에서의 대사]

대장에서 미생물 작용으로 대부분 소모되며, 혈중으로 흡수되지 않고 90% 이상이 소변으로 배설된다.

신체에서 거의 에너지로 사용되지 않거나 지방으로 쌓이지 않기 때문에 0칼로리 감미료로 취급된다.

 

[기타 정보]

에리트리톨은 제로칼로리 음료와 식품에 자주 사용되며, 혈당을 거의 올리지 않는 특성 때문에 당뇨병 환자를 위한 감미료로도 사용된다.

충치 위험도가 없으며, 당알코올 중 자일리톨, 소르비톨, 만니톨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감미료이다.

에리트리톨은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되며, 일부 유전자 변형 옥수수로부터 추출되기 때문에 GMO 논란이 있다. 현재까지의 학계의 통설은 건강상 유해하지 않다는 것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에리트리톨이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주장이 있지만, 해당 연구에 대한 비판과 반박도 존재한다.

또한, 에리트리톨은 항산화제로 작용하고 당알코올의 특성상 속이 더부룩하고 장을 자극하여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사용법 및 주의사항]

사용법: 에리트리톨은 다양한 음료와 식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양 조절이 매우 편리하다. 열에 의해 단맛이 변하지 않는다.

주의사항: 에리트리톨의 섭취량은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도한 섭취는 속의 더부룩함, 소화 문제, 장을 자극하여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하루에 50그램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건강상의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 적절한 섭취량을 지켜야 한다.

에리트리톨은 당알코올의 한 종류로서 에리트리톨이라고도 불린다. 분자식은 C4 H6(OH) 4이며, 에리트로스에 대응하는 당으로 분류된다. 에리트리톨은 단맛을 가지고 있으며, 설탕 대체로 사용되고 있다. 단맛의 강도는 설탕 대비 낮지만 칼로리가 매우 낮고 혈당을 거의 올리지 않아 당뇨병 환자를 위한 감미료로도 사용된다. 또한, 충치 위험이 없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에리트리톨은 주로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되며, 칼로리가 매우 낮기 때문에 제로칼로리 음료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에리트리톨은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오줌으로 배설되므로 에너지로 쓰이거나 지방으로 쌓이지 않는다. 이로 인해 0칼로리 감미료로 취급된다.

에리트리톨은 튀김 요리를 할 때 기름을 대신하여 사용하거나 바삭한 단맛을 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에리트리톨의 가격이 비싸고 조리 후 응고하여 음식이 굳거나 들러붙을 수 있으며, 단맛이 어울리는 요리에만 쓸 수 있다는 제한적인 조리법이 있다. 또한, 과다 섭취 시 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에리트리톨은 대체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개미에게 독성을 나타내므로 개미 군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논란의 중심이 되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해당 연구의 신뢰성과 연구 방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