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품개발프로세스

1.NP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이해

by 냥코선생님 2022. 10. 4.
728x90
반응형

 취업 준비하는 분들, 연구 및 개발 직무로 커리어를 완성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제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블로그를 개설 및 운영하려고 합니다.

 

관련 가상의 신제품(Market New)과 기존의 판매하고 있는 제품을 리뉴얼 (Renewal) 하는 두 가지 가정을 통해

제품을 출시하기 위한 각 시기별, R&R과 업무가 진행 시 중요 Point 등을 내용입니다.

 

시간과 분량이 된다고 한다면 시장 확장을 위한(Extension) 부분과 고객사의 요청에 의한 (ODM) 개발 부분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프로세스란?

 하나의 제품을 만들거나 기존의 제품을 리뉴얼 (renewal) 하기 위해서는 Markting, Sales, R&D 등의 각 팀이 기존의 시장의 반응 및 문제 점을 파악하고 각 포지션별 진행해야 하는 업무 등의 세부사항을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제품 개발프로세스는 각 회사별 방법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크게는 아래와 같은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 Ideation (Idea 도출 결과 보고서 작성, NPD 진행 결정)

  • Idea 도출
  • Idea 확정
  • 시장반응 점검
  • NPD 기획

 

나. 컨셉 개발 (환경 분석과 자사 전략에 기반한 콘셉트 후보 안 도출)

  • 콘셉트 도출
  • 콘셉트 조사
  • 원재료 검토
  • 생산처 검토
  • 프로토타입 개발
  • 콘셉트 확정
  • 콘셉트 보고

 

 다. 상품화 (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 Lab 스펙 개발
  • Data 검증
  • 패키지 개발
  • 디자인 개발
  • 시생산
  • 안전성 검사
  • 표시사항 등록
  • 생산협의
  • 관능조사
  • 시장검증
  • 상품화 확정
  • 상품화 보고

 

 라. 제품 출시 (출시 및 출시 후 마켓 테스트 결과)

  • 초도 구매 발주
  • 콘텐츠 제작
  • 사전 마케팅
  • 본생산
  • 출시 보고
  • 출시
  • 마켓 테스트 조사     
  • 출시 후 보고

 

NPD(New Product Devlopment Process) 표준안

가. Ideation 단계 

 PM(Product Manager) 및 카테고리별 Sales 담당, 개발인력이 모여 제품의 방향과 시장 가능성을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 국내외 시장조사, 고객 조사, 전문점 조사 등 수행 - ALL
  • Idea 도출 결과 보고서 작성, NPD 진행 결정 - ALL (Ideation 보고서)
  • 기존 제품의 출시 후 시장 및 고객 반응 점검 - ALL (출시후 보고서, VOC 보고서)
  • NPD 유형결정, 일정계획 수립, 담당자 지정, 플랫폼 등록, 승인 요청 - ALL

나. 컨셉 개발

PM(Product Manager) 및 R&D 인력이 모여 환경 분석과 자사 전략에 기반한 콘셉트 후보 안 도출 단계입니다. 

  • 콘셉트 Screening : 다수 후보 안에 대한 선호도 조사 후 압축 - PM(컨셉 보드)
  • 콘셉트/구매 의향 조사 : 도출된 후보 안에 대한 선호도 및 구매 의향 조사 - PM(조사기획안)
  • 콘셉트/구매의향 비교조사 : 자사 후보안 vs 경쟁제품 컨셉 비교우위 조사 - PM(조사 결과 보고서)
  • 공정에 맞는 생산설비를 갖춘 공장 컨택 - ALL
  • 콘셉트원료 도출 프로토타입 제작에 필요한 원료 구비 - R&D
  • 프로토타입 샘플 평가 후 보완점 찾아 컨셉 확정 - R&D, PM
  • 콘셉트 조사를 바탕으로 제품군, 제품형태, 제품 성상과 같은 초기 샘플 확인 - R&D
  • 컨셉 개발에서 확정된 모든 사항들에 대한 취합 보고 - PM, R&D  (콘셉트 보고서)

다. 상품화 (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PM(Product Manager) 및 R&D 인력이 콘셉트 확정 후 원료 소싱, 공정개발, 배합비 도출, 제품 유형 확인, 품질기준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 컨셉 구현을 위한 원료를 리스트업 및 적합여부를 검토- PM, R&D
  • 컨택한 공장에서 적용가능한 수준으로 공정을 설계-  R&D
  • 최종 배합비 완성 전까지 Rab 테스트 진행 (Data 누적기) - R&D
  • 법규사항 확인 및 유형별 기준규격을 확인 - PM, R&D
  • 식품유형별 기준에 따른 법적인 품질 규격과 자사 규격을 추가하여 품질검사 항목과 기준치를 설정 - R&D
  • 포장재 형태, 재질, 보관 안정성, 가격 등 비교 확정- PM, SCM
  • 컨셉에 적합한 디자인 시안 개발 - PM, 디자이너
  • 시생산 - R&D, PM (시생산 체크리스트,제조 공정도, 원료 QA 서류 등)

      시생산 전 준비 자료 : 시생산 배합비(통합배합비/부분배합비-원재료가 포함), 제조공정도, 한도샘플 QC 기준치,

    원료발주, 원료별 위해요소분석자료, 저장실험 데이터

      시생산 후 준비 자료 : 수율 도출, 제품가 협의, QC 기준 비교 확인, 변경 배합비 확보

  • 완제품 형태로 저장실험, 유통기한 설정시험(가속실험)을 통해 제품 유통기한과 제품 소비기한에 대한 정보를 확보 - R&D
  • QC 기준 항목별 경시 변화 데이터를 확보한다.- R&D
  • 식품표시기준에 부합하는 주표시면/정보표시면 표기사항을 확인한다. - R&D, QC
  • 법제처에서 공지한 식품등의 표시기준 법령의 제정, 개정 내용을 확인하고 법적표기사항공문을 작성, 확인하여 패키지에 반영한다.- R&D, QC
  • 원가 구조 협의, MOQ 협의 - PM, R&D
  • 외부 패널, 내부 패널 등 모집 및 관능평가 실시 - PM
  • MD, 파트너사등 가격/상품컨셉 등 FGI 방식 등 공유 및 평가 진행 - PM
  • 시장검증 결과를 토대로 유관부서 담당자 최종 확인 및 컨펌 - ALL
  • 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 ALL

라. 제품 출시

PM(Product Manager) 및 Sales 인력이 제품 출시  시장의 반응 및 개선점을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 본생산에 필요한 원료 발주( 사급원료, 공장원료 구분) - PM, SCM
  • 상세페이지 내용 및 디자인 작성 - PM, 디자이너
  • 본생품 입고 후 생산품 배치별 실험을 기록한다. - R&D, QC
  • 시딩, 협찬 등 사전마케팅 진행 - PM
  • 외부공인기관에 의뢰하는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실험 - R&D
  • 출시 결과 보고 - PM, Sales
  • 시장 반응, 제품 리뷰, 판매량 추이 조사 - PM, Sales
  • 출시 후 마켓테스트 결과 보고 - PM, Sales

글로만 작성 하는 부분은 이해하는데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다음 Post 부터는 가상의 음료 제품 설정하고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가 ~ 라의 단계를 예시를 들어서 하나의 제품이 출시되는 과정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