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품개발프로세스

3.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컨셉 개발(Product Manager-PM의 R&R)

by 냥코선생님 2022. 10. 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

1.2022.10.04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1.NP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 이해(내용 및 R&R)

2.2022.10.05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2. NPD(New Product Devlopment Process) - Ideation (제품 개발 설정)

지난 포스트에서 우리는 '대체 단백질이 중심이 된 음료와 Company New'를 기반으로 나. 콘셉트 개발 부분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나. 콘셉트 개발 : 

PM(Product Manager) 및 R&D 인력이 모여 환경 분석과 자사 전략에 기반한 콘셉트 후보 안 도출 단계입니다. 

콘셉트 개발 단계에서는 PM(Product Manager)은 아래와 같은 업무를 진행합니다. 

  • 콘셉트 Screening : 다수 후보 안에 대한 선호도 조사 후 압축 - PM(콘셉트 보드)
  • 콘셉트/구매 의향 조사 : 도출된 후보 안에 대한 선호도 및 구매 의향 조사 - PM(조사 기획안)
  • 콘셉트/구매 의향 비교조사 : 자사 후보 안 vs 경쟁제품 콘셉트 비교우위 조사 - PM(조사 결과 보고서)
  • 공정에 맞는 생산설비를 갖춘 공장 컨택 - ALL
  • 콘셉트 개발에서 확정된 모든 사항들에 대한 취합 보고 - PM, R&D  (콘셉트 보고서)

지난번 포스트에서 우리는 Company New의 NPD를 진행한다고 이야기를 진행한다고 말씀드렸고 

Company New - NPD ( 시장에는 있지만 우리 회사에서는 처음) : 경쟁제품 선정, 콘셉트/구매 의향 비교 조사 추가 콘셉트 Screening 단계가 표준안에 추가된다고 전달드렸습니다. 

Company New NPD

일전 올려둔 표준안과는 구조 맵으로는 차이점이 없습니다. 추후 ODM-NPD or 리뉴얼-NPD (renewal)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좀 더 변화된 부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mpany New 순차정리

 

A-1. 콘셉트 Screening

Company New - NPD에서는 경쟁제품 선정의 부분이 있는데요. 우리는 대체 단백질이 중심이 된 음료 or 식물성 밀크 두 가지를 Point로 Screening을 진행해 봅시다. 

대표적으로는 식물성 밀크 시장과 대체 단백 프로틴 음료 시장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식물성 밀크 / 대체 단백질 프로틴음료 (사진출처: 각사)

각각의 Target을 설정하고 나면 산업 시장에 대한 조사를 병행합니다. 

식품산업통계정보

Screening 단계를 진행하면서 아래와 같은 내용을 수집 진행하고 

  • 시장의 내용을 수집
  • 환경 분석 (고객 및 경쟁사)
  • 주요 유통별 시장 가격 조사
  • SWOT 분석을 통한 자사 환경 분석 

A-2. 콘셉트 후보 도출

콘셉트 보드의 형태 분석 내용을 취합 및 정리 후 콘셉트 후보 도출의 과정을 거칩니다.  

우리는 '대체 단백질이 중심이 된 음료 or 식물성 밀크'를 중심으로 자료를 만들고 있으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될 것입니다.

  • 제품의 용량
  • 단백질의 종류
  • 맛 
  • 기존 자사 제품과의 연계성
  • 건강 or 환경 등의 이슈 트렌드 

A-3. 시장 진입 전략

콘셉트 후보 도출이 끝나면 만들어진 제품이 어떻게 시장에 진입할 것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는 단계입니다.

  • 광고 전략
  • 유통 매출처 (온라인 or 오프라인)
  •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 마케팅 포인트 활용방안

A-4. 목표 원가 및 판가

다음은 콘셉트를 통해 얻어진 내용을  가지고 내용들을 최종 설정합니다. 

  • 타     겟
  • 중량(g) 및 구성
  • 정상가(기준가)
  • 원가/목표 원가
  • 부자재 및 임가공비

 

 

B. 콘셉트 보드

A-1. 콘셉트 Screening부터 A-4. 목표 원가 및 판가의 내용을 정리하는 부분입니다.,

모바일 컨셉보드 구성 가이드 (자료 출처: 오픈서베이)

콘셉트 보드의 주요 내용으로는 아래와 같은 부분이 포함됩니다.

  • Target
  • 슬로건
  • 콘셉트
  • 소구 포인트
  • 시장 진입 방향

우리도 가상의 제품을 만들기로 했으니 위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임의 전략 및 콘셉트 내용을 작성해보겠습니다.

  • 제품의 용량 : 200ml (소비자가 가볍게 들고 먹을 수 있고 회전율의 증가)
  • 단백질의 종류 : 대체 단백질중 식물성 단백질 사용 (소비자의 진입이 어려운 곤충들의 단백질은 제외)
  • 맛 : 식물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곡물의 맛 or 너트의 고소함
  • 건강 or 환경 등의 이슈 트렌드 : MZ의 가치 소비 트렌드
  • 광고 전략 : 소셜미디어, 트렌드 잡지 등을 이용
  • 유통 매출처 : 온라인 중심의 매출 진행 
  •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 친환경적인 , HIP,
  • 마케팅 포인트 활용방안 : 육류 단백의 소비를 줄이고 건강 및 환경적 가치를 지킬 수 있다. 
  • 타     겟 :  20~40대 여성층
  • 중량(g) 및 구성 : 200ml / 12EA
  • 정상가(기준가) : 1500원
  • 원가/목표 원가 : 600원
  • 부자재 및 임가공비 : 450원 전후

이번 포스트에서는 간략하게 콘셉트 Screening을 진행하고 콘셉트 보드의 내용까지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음 포스에서는 나. 콘셉트 개발 R&D 연구원이 (제품 개발연구원)이 어떤 업무를 수행하고 진행하는지 실제 우리가 가상으로 만들고 있는 제품을 예시로 들어 작성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