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품개발프로세스

7.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R&D - PM(Product Manager)의 R&R)-(1)

by 냥코선생님 2022. 10. 1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까지 나. 콘셉트 개발 부분에서 PM(Product Manager) 및 식품 개발연구원(R&D) 간략하게 업무의 범위와 종류 등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았습니다.

2022.10.06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3.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콘셉트 개발(Product Manager-PM의 R&R)

 

3.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컨셉 개발(Product Manager-PM의 R&R)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 1.2022.10.04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1.NP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 이해(내용 및..

bong-ian.tistory.com

2022.10.10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4.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콘셉트 개발(R&D - 식품 개발 연구원의 R&R)-(1)

 

4.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컨셉 개발(R&D - 식품 개발 연구원의 R&R)-(1)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 1.2022.10.04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1.NP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 이해(내용 ..

bong-ian.tistory.com

 

 

이번 포스트부터는 다. 상품화 (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단계 이야기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상품화 단계

PM(Product Manager) 및 R&D 인력이 콘셉트 확정 후 원료 소싱, 공정개발, 배합비 도출, 제품 유형 확인, 품질기준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1차적으로 PM(Product Manager)의 업무 부분부터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 컨셉 구현을 위한 원료를 리스트업 및 적합여부를 검토- PM, R&D
  • 법규사항 확인 및 유형별 기준규격을 확인 - PM, R&D
  • 포장재 형태, 재질, 보관 안정성, 가격 등 비교 확정- PM, SCM
  • 콘셉트에 적합한 디자인 시안 개발 - PM, 디자이너
  • 시생산 - R&D, PM (시생산 체크리스트, 제조 공정도, 원료 QA 서류 등)
  • 원가 구조 협의, MOQ 협의 - PM, R&D
  • 외부 패널, 내부 패널 등 모집 및 관능평가 실시 - PM
  • MD, 파트너사 등 가격/상품 콘셉트 등 FGI 방식 등 공유 및 평가 진행 - PM
  • 시장검증 결과를 토대로 유관부서 담당자 최종 확인 및 컨펌 - ALL
  • 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 ALL

콘셉트 구현을 위한 원료를 리스트업 및 적합여부를 검토- PM, R&D

이전 포스트에서 원재료 선택 Point는 아래와 같다고 말씀드렸습니다.

 

  1. 국내 법규
  2. 지속가능성 (원재료의 공급 , 거래업체의 안전성, 생산국의 안전성 등)
  3. 원재료의 가격 및 MOQ(최소 주문 수량)
  4. 자사의 브랜드 및 가치관

이중 자사의 브랜드 및 가치관가 연관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요즘의 식품 트렌드는 대체 단백질 그중에서 HOT 키워드는 비건(Vegan)과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번 콘셉트 보드를 작성할 시 우리는 아래와 같이 콘셉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단백질 음료의 가상 콘셉트----------------------------------------------------------

제품의 용량 : 200ml (종 이펙) (소비자가 가볍게 들고 먹을 수 있고 회전율의 증가)

단백질의 종류 : 대체 단백질중 식물성 단백질 사용 (소비자의 진입이 어려운 곤충들의 단백질은 제외)

맛 : 식물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곡물의 맛 or 너트의 고소함

건강 or 환경 등의 이슈 트렌드 : MZ의 가치 소비 트렌드

광고 전략 : 소셜미디어, 트렌드 잡지 등을 이용

유통 매출처 : 온라인 중심의 매출 진행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 친환경적인 , HIP,

마케팅 포인트 활용방안 : 육류 단백의 소비를 줄이고 건강 및 환경적 가치를 지킬 수 있다.

타 겟 : 20~40대 여성층

중량(g) 및 구성 : 200ml / 12EA

정상가(기준가) : 1500원

원가/목표 원가 : 600원

부자재 및 임가공비 : 450원 전후

--------------------------------------------------------------------------------------------------------------------------------------------

 

이 중에서 우리가 설정한 자사의 브랜드 및 가치관가 연관된 업무 포인트 아래와 같습니다.

  • 건강 or 환경 등의 이슈 트렌드 : MZ의 가치 소비 트렌드
  •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 친환경적인 , HIP, Vegan
  • 마케팅 포인트 활용방안 : 육류 단백의 소비 감소 건강 및 환경적 가치 보존.

우리가 만들고 있는 가상의 제품에서 (비건) Vegan이라는 Point로 이야기를 진행해봅시다.

비건(vegan)이란?

: 채소, 과일, 해초 따위의 식물성 음식 이외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는 철저하고 완전한 채식주의자를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제품 개발 연구원 및 PM(Product Manager)은 생산시설을 통해서 제품을 만들어내는 업무를 진행하는 사람들입니다.

리스트업

즉 제품의 관능적, 제품 안전성, 기능성 등 제품을 만들기 위해 투입된 모든 원재료 세부적인 원료를 추적하고 인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각 사용되는 원료들의 리스트를 만들어서 사용 가능/불가능 여부를 기록하고 보관합니다.

그러면 회사별로 조금씩 다르겠지만 Vagan을 예시로 이야기를 진행하기로 했으니 원재료 확인할 때 필요한 내용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국내 제조 원재료

  • 품목제조보고
  • 제품 시험성적서
  • 법정 시험성적서
  • 관련 인증서 (HACCP, HALAL, Vegan)
  • 동물성 원료 미확인 확인서
  • 제조공정도(필터 및 효소, 촉매제 등의 내용 확인)
  • ect..

해외 제조원료

  • 수입신고 확인증
  • 수입신고필증
  • CoA - Certificate of Analysis (시험성적서)
  •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물질 안전보건자료)
  •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필터 및 효소, 촉매제 등의 내용 확인)
  • 관련 인증서 (HACCP, HALAL, Vegan)
  • 동물성 원료 미확인 확인서
  • ect..

내용을 원재료의 안전성 및 콘셉트에 따른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법규사항 확인 및 유형별 기준규격을 확인 - PM, R&D

참고 : 일전 포스트에서 다루었듯이 식품공전을 통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대체 식물성 단백질을 사용한 음료‘라는 콘셉트를 잡고 작업을 시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있기에

사용할 원재료는 OAT(귀리)와 쌀로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OAT(귀리)

 

식품공전 :식품안전나라

 

제 5. 식품별 기준 및 규격 - 식품안전나라

우리는 OAT(귀리)와 쌀을 원재료로 사용하겠다고 정했습니다.

https://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0

 

https://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0

▶ 제 5. 식품별 기준 및 규격 ▶ 9. 음료류 <!-- 리플렛을 PDF로 받기 --> 9. 음료류 음료류라 함은 다류, 커피, 과일・채소류음료, 탄산음료류, 두유류, 발효음료류, 인삼・홍삼음료 등 음용을 목적

foodsafetykorea.go.kr

참고한 링크의 제품 유형을 확인해보시면 두 가지 원료에 대한 법적 표기가 되어 있는 부분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은 9-8 기타 음료, 식품유형은 (1) 혼합음료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유형별 기준규격 (혼합음료의 기준 규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산소량(mg/L)∶ 24 이상(인위적으로 산소를 충전한 제품에 한한다)

(2) 납(mg/kg):0.3 이하

(3) 카드뮴(mg/kg):0.1 이하

(4) 주석(mg/kg):150 이하(알루미늄 캔 이외의 캔 제품에 한한다)

(5) 세균수:n=5, c=1, m=100, M=1,000(분말제품, 유산균 함유 제품은 제외한다.)

(6) 대장균군:n=5, c=1, m=0, M=10

(7) 유산균수∶표시량 이상(다만, 유산균 함유 제품에 한한다)

(8) 보존료(g/kg):다음에서 정하는 것 이외의 보존료가 검출되어서 아니 된다.

 

여기서 우리가 적용하는 부분만을 제외하고 유형별 기준규격을 설정하면 됩니다.

 

(1) 산소량(mg/L)∶ 24 이상(인위적으로 산소를 충전한 제품에 한한다)

=> 별도 투입 예정 없음

(2) 납(mg/kg):0.3 이하

(3) 카드뮴(mg/kg):0.1 이하

(4) 주석(mg/kg):150 이하(알루미늄 캔 이외의 캔 제품에 한한다)

=> 지난번 콘셉트에서 Tetra Pak (종이 재질)로 진행하기로 함

(5) 세균수:n=5, c=1, m=100, M=1,000(분말제품, 유산균 함유 제품은 제외한다.)

(6) 대장균군:n=5, c=1, m=0, M=10

(7) 유산균수∶표시량 이상(다만, 유산균 함유 제품에 한한다)

=> 별도의 유산균 함유 없음

(8) 보존료(g/kg):다음에서 정하는 것 이외의 보존료가 검출되어서 아니 된다.

중요한 점은 우리가 사용 가는 한 합성보존료의 종류 및 적용 가능량 또한 같이 표시되어있는 점입니다.

제품을 개발을 진행할 시 노치기 쉬운 부분이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다음 단계로 아래와 같은 업무가 진행됩니다.

  • 포장재 형태, 재질, 보관 안정성, 가격 등 비교 확정- PM, SCM
  • 콘셉트에 적합한 디자인 시안 개발 - PM, 디자이너

업체의 상황 공장의 유/무, 유통의 크기별로 다르기 때문에 진행 내용만 표시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트에서는 다. 상품화 단계에서 PM(Product Manager)시생산 전까지 진행하는 업무와 포인트 등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R&D 인력 시생산 전까지 어떤 업무를 수행하고 진행하는지 실제 우리가 가상으로 만들고 있는 제품을 예시로 들어 작성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