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품개발프로세스

8.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R&D - 제품 개발 연구원)의 R&R)-(2)

by 냥코선생님 2022. 10. 1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는 다. 상품화 단계에서 PM(Product Manager)시생산 전까지 진행하는 업무와 포인트 등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2022.10.14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7.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R&D - PM(Product Manager)의 R&R)-(1)

 

7.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R&D - PM(Product Manager)의 R&R)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까지 나. 콘셉트 개발 부분에서 PM(Product Manager) 및 식품 개발연구원(R&D) 간략하게 업무의 범위와 종류 등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았습니다. 2022.10.06 - [제

bong-ian.tistory.com

 

이번 포스트에서는 다. 상품화 단계에서 R&D(제품 개발연구원) 인력 시생산 전까지 어떤 업무를 수행하고 진행하는지 실제 우리가 가상으로 만들고 있는 제품을 예시로 들어 작성해보겠습니다.

 

다. 상품화 단계

PM(Product Manager) 및 R&D 인력이 콘셉트 확정 후 원료 소싱, 공정개발, 배합비 도출, 제품 유형 확인, 품질기준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시생산 전까지 R&D (제품 개발연구원)의 업무

  1. 콘셉트 구현을 위한 원료를 리스트업 및 적합여부를 검토- PM, R&D
  2. 컨택한 공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공정을 설계- R&D
  3. 최종 배합비 완성 전까지 Rab 테스트 진행 (Data 누적기) - R&D
  4. 법규사항 확인 및 유형별 기준규격을 확인 - PM, R&D
  5. 식품유형별 기준에 따른 법적인 품질 규격과 자사 규격을 추가하여 품질검사 항목과 기준치를 설정 - R&D

등의 업무를 순차적으로 수행합니다. 

 

세부 사항으로 이야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원료를 리스트업 및 적합여부를 검토

진행하는 내용은 앞선 포스트에서 진행했습니다.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 회사의 브랜드 및 제품의 목적, 원재료의 특성을 비교해서 리스트를 만들고 소거점을 확인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PM(Product Manager)와 같이 업무를 진행하는 부분이기에 아래 포스트를 참고해 주세요.

참고 :2022.10.14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7.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R&D - PM(Product Manager)의 R&R)-(1)

 

7.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R&D - PM(Product Manager)의 R&R)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까지 나. 콘셉트 개발 부분에서 PM(Product Manager) 및 식품 개발연구원(R&D) 간략하게 업무의 범위와 종류 등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았습니다. 2022.10.06 - [제

bong-ian.tistory.com

 

2. 컨택한 공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공정을 설계

중요 : 연구원의 업무는 대량 생산하는 설비를 연구소에서 소규모로 재현하는 것입니다.

이전 콘셉트 단계에서 공장을 찾는 부분이 왜 중요한지 이야기드렸습니다.

우리가 제조할 공장의 조건에 따라서 포장기, 포장용기, 살균 방법, 유화 방법 등이 달라지기에 그에 맞는 공정을 설계해야 합니다.

 

제조공정도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신제품의 콘셉트 경우 “대체 식물성 단백질을 사용한 음료” 말씀을 드렸습니다.

관능적 혹은 기능적 목적을 위하여 식물성 오일을 추가한다고 예정한다면 오일을 균질할 수 있는 제조 공정 추가되어야 합니다.

후 균질 공정의 예시를 들어 제조공정도 작성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후 균질 공정 예시-

 

  1. 배합 -내용 : (배합액의 제조 순서 및 교반(믹싱) 시간, 원재료의 투입순서)등을 기제
  2. 배합액이 이동되는 저장탱크 표시
  3. 냉각 /여과 : 배합액을 냉각 지점 표시 및 1차 필터 종류 설정
  4. 탈기 : 거품이 많이 나는 배합액 혹은 단백질 및 지방 함량이 높은 배합액에 소포제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표시 예시.-5 bar(음압)) TIP: 소포제란? :가공식품 제조 시 발생하는 거품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식품첨가물
  5. 멸균: (UHT를 적용 시 온도-시간(초) 표시
  6. 여과: 2차 필터 종류 설정 (1차 보다 좀 더 미세한 필더를 적용)
  7. 균질: 내용 : 균질을 진행할 시 압력 및 온도
  8. 냉각 / 저장 : 균질액이 이동할 저장탱크 및 냉각 온도 설정
  9. 충전: 용기에 액을 채우는 것
  10. 밀봉
  11. 포장

위의 1~11단계의 내용일 순차적으로 들어갑니다. 이 내용에 CCP 관리 기준 등이 추가되면 제조공정도가 완성됩니다.

 

자료예시 : 식품의약품안전청

 

그렇다면 우리는 제조공정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아래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숙지해야 합니다.

  • 포장기
  • 포장용기 : PET, 유리병, 파우치, 종이팩 등..
  • 살균 방법 :저온살균, 고온 살균, 초고온 살균등

포장용기, 포장 환경, 살균 방법에 따라서 제품의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법규 변경으로 인해 개도 기간이 끝나면 유통기한표시는-> 소비기한 표시로 변경됩니다.

 

TIP: 소비기한이란? : 소비기한이란 규정된 보관조건에서 소비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

 

 

 

3. 최종 배합비 완성 전까지 Rab 테스트 진행 (Data 누적기)

  • 콘셉트에 맞는 관능 조정
  • 기능성 발현을 위한 환경조건 설정
  • 제품 안전성을 위한 이와 학 수치 조정(pH, birx, Total Acid, 비중)
  • 가열 조건에 따른 보존 Test ( 제품의 유형별, 유통 조건별 맞추어 진행)

등이 업무가 유기적으로 연동되기 때문에 위의 각각의 소재 및 조건을 원하는 콘셉트의 제품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이때 연구원별 혹은 팀별로 연구노트 혹은 LIMS(전자 연구노트)를 작성하는데

연구노트를 작성하는 법이나 LIMS(전자 연구노트)에 관련된 부분은 추후에 포스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4. 법규사항 확인 및 유형별 기준규격을 확인

 

법적 규격을 확인하는 부분은 앞선 포스트에서 진행했습니다.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 식품공정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원재료 및 제품의 유형을 확인 진행 후 제품에 대한 안정선 규격을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참고 : 2022.10.12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6.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콘셉트 개발(R&D - 식품 개발 연구원의 R&R)-(3)

 

6.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컨셉 개발(R&D - 식품 개발 연구원의 R&R)-(3)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나. 콘셉트 개발 부분에서 식품 개발연구원이 콘셉트 맞는 원재료의 법적 사용 규격 내용을 확인 제품의 유형을 설정 2022.10.11 - [제품

bong-ian.tistory.com

-실험실 배합이 완성된 이후-

 

5. 자사 규격을 추가하여 품질검사 항목과 기준치를 설정 

법적 규격 이외에도 추가적인 품질 규격을 설정하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합니다.

  • 제품의 안정성
  • 제품의 동일성
  • Ect...

 

확인하기 위해서 법 격 규격 이외의 자사 규격을 성정하는 단계입니다.

  • 미생물의 종류 및 수
  • 비중
  • Birx
  • pH
  • 고형분 함량
  • Ect...

의 내용을 자사 규격을 설정 추가합니다.

 

4번과 5번의 내용을 하나의 내용으로 취합하여 시생 산용 품질 규격서를 작성합니다.

품질 규격서 양식은 업체별로 다르기 때문에 위의 내용이 포함된 하나의 문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번 지난 포스트와 이번 포스트에서

다. 상품화 단계를 진행할 시 PM(Product Manager) 및 제품 개발연구원(R&D)이 시생산 전까지 진행하는 업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다. 상품화 단계 - 시생산 부분에서 PM(Product Manager) 및 제품 개발연구원(R&D)의 업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