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2

[식품위생법의 해설] 22. 수입 농임산물 사전 확인사항 1) 식품에 사용가능한 원료인지 여부- 국내외 위해정보에 의한 금지원료 및 품목,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품목 등을 확인하며, 식품동전에 별도로 정하고 있는 원료의 경우 학명을 확인하여 안전한 원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합니다.- 또한, 식품용에 한하여 수입이 가능하며, 수출국에서 공업용, 사료용,의약품용도 등 여부를 반드시 확인 하여야 합니다. 2) 유전자 재조합 표시 해당여부- 유전자재조합 농산물을 수입하는 경우 해당법령(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2024. 5. 6.
[식품위생법의 해설] 21. 식품등을 수입하기 전에 수입자가 알아야 할 사항 식품등을 수입하기 전에 수입자가 알아야 할 사항(1) 공통사항수입금지 대상 여부 확인 및 증명서 제출대상을 확인하여야 하며, 부적합 판정받은 제조수출회사인지, 수입하고자 하는 식품등의 원재료, 제조시설, 제조가공 단계, 보관유통단계등도 확인하여야 합니다. 1) 수입금지 대상 여부 확인- BSE(광우병) 관련 36개국의 반추동물 및 부산물을 원료로 하는 식품 및<p data-.. 2024. 5. 3.
[식품위생법의 해설] 20. 수입식품등의 신고수리 절차 - 식품등(기구 및 용기포장 포함)이 우리나라에 도착하면 식품등수입판매업의 영업자는 관세청 통관단일 창구(UNI-PASS)에 수입신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 이 경우수입자가 직접수입신고 할 수 있으며, 수입식품신고를 대행하고자 하는 경우 “수입식품 신고대행자” 자격을 갖춘 자에게 의뢰하여 수입신고를 대행하여야 합니다. - 수입신고서에 해당제품을 제조한 제조회사명 및 주소, 원재료명 및 배합비, 제조공정, 한글표시사항 등을 정확히 기재하여 신고하며, “수입신고서”는 물품소재지 관할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접수하여 서류 검토 후 검사종류를 선별(서류검사, 관능검사, 정밀검사, 무작위검사)하여검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 서류검사는 제출된 수입신고서를 바탕으로 원재료, 제조공정등 전반적인사항을 검토.. 2024. 4. 30.
[식품 NewS] 2024년 03월 04주 [Market & Trend] 번호 뉴스 소스 주요 내용 1 세계일보 유통업계가 '디토 소비'에 주목하며 신뢰할 만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2 서울경제 대체육 패티와 대체당 알룰로스 등을 포함한 K푸드가 미국 대안식품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3 연합인포맥스 식품업계가 차세대 먹거리에 투자하면서 '배양육'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4 비건뉴스 나소야의 비건 만두가 미국의 월마트에서 최고의 비건 식품 중 21위로 선정되었습니다. 5 아시아투데이 봄철 건강을 챙기기 위해 식품업계가 맛과 영양을 고려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6 매경헬스 식품업계가 '인도' 트렌드를 따라가면서 현지화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7 전자신문 SSM이 작아지고 편의점은 식품을 더 다양하게 판매하면서 경계가 모호해지고.. 2024. 4.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