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품개발프로세스

18.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 - 식품 관능검사의 이해

by 냥코선생님 2022. 10. 3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는 영양성분 표시량과 실제 측정값의 허용오차 범위와 내용량 표시기준 및 허용오차 범위의 중요 Point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2022.10.28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17.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 - 영양성분 표시량과 실제 측정값 , 내용량 표시기준 및 허용오차 범위

 

17.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 - 영양성분 표시량 과 실제 측정값 , 내용량 표시기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는 식품 표시기준 법령의 내용을 확인하고 영양성분 표시 중요 Point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2022.10.27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16. NPD(New Product D

bong-ian.tistory.com

 

이번 포스트에서는 식품 관능검사의 이해의 관련 중요 Poin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품 관능검사란?

식품의 품질을 인간의 시각·미각·후각 등의 감각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방법

 

  • 식품의 외관
  • 냄새
  • 조직(식감)등

관능검사 평가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합니다.

 

  • 분석적․객관적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 주관적 기호도 검사 방법(소비자의 기호도 평가)

 

분석적 관능검사 방법은

  • 저장시간 경과에 따른 품질특성의 변화를 기록
  • 유통기한의 종료점을 결정하는데 유용

관능적인 변화는

  • 다른 이화학 수치의 변화가 확인되기 전에 감지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저장 실험 동안 제품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

TIP: 저장 실험하는 제품의 미생물학적 안전보장되어야 합니다.

 

 

관능검사의 단점은측정기기를 이용한 실험과 비교

  • 오차 발생 가능성이 높음
  • 결과의 재현성
  • 컨디션, 시간대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훈련된 패널의 중요성

  • 훈련된 패널에 의해 결과의 재현성이 확인된 검사방법은
  • 품질지표에 대한 적당한 기기 측정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경우
  • 측정기기보다 인간의 감도가 높은 경우 등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습니다.

 

관능검사 시 중요 Point

  1. 분명한 관능검사의 목적
  2. 관능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
  3. 적합한 실험 절차의 사용
  4. 적합한 패널들의 선택 및 교육훈련
  5. 적절한 데이터의 취급과 통계적 분석

 

관능검사 실험 시 필요한 사항과 기본적인 고려사항

  • 분명한 관능검사의 목적
  • 제품이 소비자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시간의 양을 결정
  • 제품에 관능적인 문제가 발견되기 전까지의 시간의 양을 결정
  • 제품의 유통기한을 결정

 

관능검사 실험 종료 3가지 기준 아래와 같습니다.

회사의 정책 및 목적, 시장조건, 사업 고려사항 등 실험 종료점을 결정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요인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분석적 검사방법 이용 (훈련된 평가원 참여)

  • 제품의 전체적인 관능 상태가 변화하는 시점
  • 소비자 감각의 측면에서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제품의 특성 변화 시점

기호도 검사방법 이용 (다수의 소비자 참여)

  • 제품의 기호도가 매우 낮은 시점

 

관능검사 실험 종료점 선택 방법

대조구와 유의차가 발생하는 있는 시점

1개 또는 그 이상의 기준 제품 특성과 의미 있는 변화가 있는 시점

사전 설정한 품질 관능 기준의 의미 있는 감소 시점

 

검사방법 일반적인 범위 설정

분석적 검사 (반복 실험과 평가원 훈련이 요구)

  • 차이 검사(difference test)
  • 묘사 분석(descriptive test)

다수의 소비자에게 평가하는

  • 기호도 검사 (affective test)

TIP: 관능평가를 수치화하는 방법에 따라 분류법, 등급법, 순위 법, 평점법/척도 법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차이 검사(difference test)

제품에 인지할 수 있는 변화가 있는 경우 선택합니다.

TIP: 이 방법이 모든 제품에 적절 않음

TIP: 동일 배치에서 얻은 2개의 대조구 사이에 관측된 차이가 있는 경우 사용 없음

 

- 차이 검사 방법

  • 삼 점 검사(Triangle test),
  • 일-이점 검사(Duo-Trio test),
  • 이점 비교 검사(Paired comparison test),
  • 오-이점 검사(Two-out of-five test),
  • 묘사 분석(descriptive test) - 훈련된 5-10명의 페널 이용

- 제품 개발, 개선, 품질관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 향미 프로필(flavor profile),
  • 텍스처 프로필(texture profile),
  • 정량적 묘사 분석(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 스펙트럼 묘사분석 (spectrum descriptive analysis),
  • 시간-강도 분석(time-intensity analysis)

기호도 검사(affective test)

기호도 검사는 기초를 세우기 위해 초기에 수행될 수 있고, 이후 미리 결정한 종료 기준에 이를 때까지 특정 간격으로 반복 진행합니다.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대상이 됩니다.

  • 초점 그룹 연구(focus group study),
  • 초점 평가원 연구(focus panel study),
  • 1:1 면접(one to one interview) 등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관능검사 방법의 일반적인 선택 기준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변화를 종합적인 기호도로 판단할 수 있는 식품

  • 기호도 검사(기호도 척도 법)

 

- 변화를 기호도로 판단하기 어려운 식품

  • 차이 검사

 

평가원(패널)의 경우 훈련을 받은 평가원과 일반 소비자(비 훈련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로 분리합니다.

 

-검사방법 훈련받은 평가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 차이 검사(difference test),
  • 묘사 분석(descriptive test)

 

-반복 평가 없이 다수의 소비자를 평가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 기호도 검사(affectivetest)

 

평가원의 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 평가원은 훈련된 외부 평가원
  • 제품에 대한 일반 지식
  • 제품 개발에는 밀접하게 참가하지 내부 직원

 

평가원 선발 시에는 고려사항

  • 특정 관능 업무 수행을 위한 일반적인 능력, 연구 중 자극에 대한 특정 예민도
  • 동기(의지, 흥미)
  • 건강(특정 알레르기가 없고 약물 치료하지 않음)
  • 건강, 치아

여기까지 식품 관능검사와 식품 관능검사의 이해의 관련 중요 Point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Post에서는 식품관능검사 방법 관련 중요 Point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