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지난 Post에 이어서 식품 관능검사와 식품 관능검사의 관련 중요 Point(2)
- 기준 차이검사(Difference from control test)
- 기호도 척도법(Hedonic rating method)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5. 기준 차이 검사(Difference from control test)
- 기준 검체(A)를 먼저 제시하고, 실험 검체를 제시한 후 차이를 준비된 척도 상의 해당 지점에 표시하도록 함
- 적용 환경
- 전체적 또는 정해진 특성에 대하여 기준 검체(A)와 비교하여 그 차이의 정도를 조사하기 사용
- 실험재료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검체가 빵, 샐러드 등)
- 일-이점 검사, 삼 점 검사가 어려운 경우 적용
- 평가 원수
검사 특성 및 평가척도의 이해도가 높은 평가원 : 15-30명
-실험방법
- 기준 검체(A)를 제시하고 관능적 특성을 보도록 한 후 실험 검체(B or C)를 제시
- 전체적 차이 또는 정해진 특성에 대하여 차이의 정도를 마련된 척도 상의 해당 지점에 표시하도록 지시
----기준 차이 검사 검사표 예시----
이름 _____________ 날짜 _______________
2가지 검체 중 1개는 기준 검체(Target)로 표시되어 있고 다른 1개는 3자리 숫자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기준 검체를 먼저 맛보고 나서 검체의 맛이 기준으로부터 차이나는 정도를 해당되는 란에 표기하십시오.
_____________ 0 차이가 없다.
____________ 1 아주 적은 차이
_____________ 2 약간의 차이
_________ 3-4 중간 정도의 차이
____________ 5-6 상당한 차이
_____________ 7-8 큰 차이
_____________ 9 매우 큰 차이
--------------------------------------------
- 결과 분석 ∙
- 분산분석 및 평균 간 다중 비교
- 고려사항 ∙훈련되거나 훈련되지 않은 평가원 모두를 사용할 수 있음
Point: 두 집단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함
6. 기호도 척도 법(Hedonic rating method)
- 소비자의 종합적인 기호도나 관능 척도를 측정할 실험 검체(A)를 제시 후 그 차이를 준비된 척도 상의 해당 지점에 표시
- 적용 환경
- 종합적인 기호 정도를 측정할 경우
- 소비자의 관능 특성별 척도를 측정할 경우
- 결과의 안정도가 높아 기호도 측정법 중 가장 유용
- 평가 원수
- 일반 소비자 30∼400명(많을수록 신뢰성 향상)
TIP ∙내부 직원 활용 시 제품에 대한 정보와 내용을 알지 못하는 자로 한정
- 실험방법
- 실험 검체(A)를 제시하고 냄새를 맡거나 맛을 보도록 한 후 전체적 차이 또는 정해진 특성에 대하여 차이의 정도를 마련된 척도 상의 해당 지점에 표시하도록 지시
∙----기호도 척도 법 검사표 예시----
이름 _____________ 날짜 _______________
1. 전반적인 기호도
□ □ □ □ □ □ □ □ □
1 ~ 9
2. 외관
□ □ □ □ □ □ □ □ □
1 ~ 9
3. 향
□ □ □ □ □ □ □ □ □
1 ~ 9
4. 맛
□ □ □ □ □ □ □ □ □
1 ~ 9
5. 조직감
□ □ □ □ □ □ □ □ □
1 ~ 9
--------------------------------------------
- 결과 분석
- 고려사항 ∙통상 9점 항목 척도가 자주 사용
- 5점 항목 척도는 양극단을 피하려는 현상 때문에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려움
- 최소 7점 이상을 사용하도록 권장함
6. 기타 참고 내용
- 분류법 (Classification)
- 검체를 미리 정의된 항목으로 분류하는 방법
- 검체를 특정 순서가 없는 몇 개의 항목 중에서 검체를 배치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항목에 적용하는 방법
- 등급법 (Grading)
- ∙검체를 품질순위 척도상에 분류하는 방법
- 검체의 품질을 반영하는 몇 개의 항목 중 가장 적합한 항목에 검체를 배치하고자 할 때 적용하는 방법
- 순위 법 (Ranking)
- 검체를 강도의 순서 또는 몇몇 특성 정도의 순서대로 배치하는 분류 방법
- 검체 간의 차이 크기는 평가하지 않음
- 복잡한 특성(품질, 맛)을 가진 적은 수의 검체(6개 정도)를 특성화할 때 사용
- 많은 수의 검체(20개 항목)의 외관만을 평가하고자 할 때 사용
여기까지 식품 관능검사 방법 관련 중요 Point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Post에서는 NPD 프로세스 - 라. 제품 출시 부분의 중요 Point에 대하여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