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까지 다. 상품화 단계에서 PM(Product Manager) 및 제품 개발연구원(R&D)의 업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7.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R&D - PM(Product Manager)의 R&R)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까지 나. 콘셉트 개발 부분에서 PM(Product Manager) 및 식품 개발연구원(R&D) 간략하게 업무의 범위와 종류 등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았습니다. 2022.10.06 - [제
bong-ian.tistory.com
이번 Post에서는 라. 제품 출신 단계에서 각 부설 별 업무의 종류 및 내용에 대하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라. 제품 출시의 단계를 요약하자면
PM(Product Manager) 및 Sales 인력이 제품 출시 후 시장의 반응 및 개선점을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 본생산에 필요한 원료 발주 (사급 원료, 공장 원료 구분)
- 상세페이지 내용 및 디자인 작성
- 시딩, 협찬 등 사전 마케팅 진행
- 본생품 입고 후 생산품 배치별 실험을 기록한다.
- 외부 공인기관에 의뢰하는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실험
- 출시 결과 보고
- 시장 반응, 제품 리뷰, 판매량 추이 조사
- 출시 후 마켓 테스트 결과 보고
아래의 대략 적인 업무 도표를 참고해주세요
PM (ProductManager) |
Sales | SCM (물류) | R&D(제품개발) | Q.C(품질관리) | 디자이너 | |
PM (ProductManager) |
시딩, 협찬 등 사전마케팅 진행 | 출시결과보고 시장반응,제품리뷰,판매량추이조사 출시후마켓테스트결과보고 |
본생산에필요한원료발주 (사급원료,공장원료구분) |
본생산에필요한원료발주 (사급원료,공장원료구분) |
상세페이지내용 및 디자인 작성 |
|
Sales | 출시결과보고 시장반응,제품리뷰,판매량추이조사 출시후마켓테스트결과보고 |
|||||
SCM | 본생산에필요한원료발주 (사급원료,공장원료구분) |
본생산에필요한원료발주 (사급원료,공장원료구분) |
||||
R&D(제품개발) | 본생산에필요한원료발주 (사급원료,공장원료구분) |
본생산에필요한원료발주 (사급원료,공장원료구분) |
외부공인기관에 의뢰하는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실험 | 본생품입고후 생산품배치별실험을기록 |
||
Q.C(품질관리) | 본생품입고후 생산품배치별실험을기록 |
외부공인기관에 의뢰하는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실험 | ||||
디자이너 | 상세페이지내용 및 디자인 작성 |
업무 정리표를 보시면 PM(Product Manager)이 중심이 돼서 진행해야 하는 업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 디자인 계획 및 디자인 완성 (디자인팀 혹은 디자이너 협업)
- 사업 성과목표(KPI) 설정과 Budget & Schedule (영업팀 및 마케팅팀)
- 구매/조달 계획 수립 (SCM 협업)
- 판가/판매량 기준 경제성 분석 (영업팀 및 마케팅팀)
- 제품 호감 및 만족도 조사
- 가격 수용도 조사
- 제품 광고 콘셉트 조사 등
- IMC 계획 설정 (광고 및 프로모션, 판촉물 등)
연구/개발 및 Design 부분에서는
- Mock up, Product Design, 품평
- Package, Box 디자인, GUI 디자인,
- 개발 자원, 개발 비용, 개발 일정, 개발 이벤트 이행 확인 및 최종 결과 보고서
- 개발 품질 관리 최종 설정, 제품 안정성 관리
론칭 및 모니터링
- 최종 제품 론칭 및 모니터링
- Feed Back , Reaction
등의 업무가 제품이 진행됩니다.
제품의 안정성 및 시장성을 확보 혹은 유지하기 위하여 진행되는 업무입니다.
여기까지 NPD 프로세스 가 ~ 라의 단계를 통해 하나의 제품을 출시하는 전반적 내용을 간략하게 확인해 보았습니다.
가. Ideation
=> Idea 도출 => Idea 확정 => 시장 반응 점검 => NPD 기획
2022.10.05 - [제품개발프로세스] - 2.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Ideation
2.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Ideation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NPD(New Product Devlopment Process)의 기본 2022.10.04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1.NPD (New Product Devlopment Process)의 기본 이해 내용 및 R&R을 정리하였
bong-ian.tistory.com
나.콘셉트 개발
=> 컨셉 도출 => 컨셉 조사 => 원재료 검토 => 생산처 검토 => 프로토타입 개발 => 컨셉 확정 => 컨셉 보고
2022.10.06 - [제품개발프로세스] - 3.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컨셉 개발(Product Manager-PM의 R&R)
3.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컨셉 개발(Product Manager-PM의 R&R)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에서 간략하게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 1.2022.10.04 - [제품 개발 프로세스] - 1.NP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의 기본 이해(내용 및 R&R) 2.2022.10.0
bong-ian.tistory.com
다. 상품화
=> Lab 스펙 개발 => Data 검증 => 패키지 개발 => 디자인 개발 => 시생산 => 안전성 검사 => 표시사항 등록
=> 생산협의 => 관능조사 => 시장검증 => 상품화 확정 => 상품화 보고
7.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상품 스펙 확정, 출시 확정) (R&D - PM(Product Manager)의 R&R)
안녕하세요 '고양이 선생님'입니다. 이전 Post까지 나. 콘셉트 개발 부분에서 PM(Product Manager) 및 식품 개발연구원(R&D) 간략하게 업무의 범위와 종류 등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았습니다. 2022.10.06 - [제
bong-ian.tistory.com
라. 제품 출시
=> 초도 구매 발주 => 콘텐츠 제작 => 사전 마케팅 => 본생산 => 출시 보고 => 출시 => 마켓 테스트 조사.
마치며
제품 개발의 단계부터 제품과 관련된 전 조직이 동일한 관점으로 시장에 제품을 선보이고 출시 이후의 까지의 계획을 사전에 정리함으로써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품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전반적인 단계입니다
기획 시작부터
- 무엇을
- 어떻게
- 어떤한 방법
으로 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고, 협의된 내용을 전 조직이 동일한 방향과 목표로 개발과정을 관리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각 단계별 업무의 효율성 및 중간중간 발생하는 문제점을 빠르게 해결해 나가자는 의미입니다.
이상으로 NPD 프로세스의 전반적인 내용을 마치며
다음 Post에서는 제품 유형별(음료, 제빵 등) 중요 개발 포인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품개발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향료]중요 Point - Food Flavor Part 75. 삼림욕, 피톤치드 (8) | 2023.06.19 |
---|---|
[식품향료] 중요 Point - Food Flavor Part 8. 식품향료규정 (22) | 2022.12.16 |
20.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 - 식품 관능검사 방법 - 기준 차이검사, 기호도 척도 법 (0) | 2022.11.03 |
19.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 - 식품 관능검사 방법 - 삼점검사, 이점 검사 (0) | 2022.11.01 |
18. NPD(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다. 상품화 - 식품 관능검사의 이해 (0) | 2022.10.31 |